[카테고리:] Main

main information

  • Western Digital SSD 보증 교환 받는 방법

    Western Digital SSD 보증 교환 받는 방법

    얼마 전에 PC 조립에 사용된 SSD 고장으로 인하여 Western Digital SSD 보증 교환 받는 방법과 AS 센터 연락처 및 위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컴퓨터 조립에 이용한 지 20일도 채 되지 않아 고장나버린 Western Digital(WD) SSD입니다.

    정확한 모델명은 WD Blue SA510 SATA SSD 2.5″ 500GB 제품으로 동일한 SSD로 상당히 많은 PC를 조립했는데 이렇게 금방 고장난 경우는 처음입니다.

    당장 사용해야 하는 PC이기 때문에 다른 SSD를 장착하여 윈도우 11 설치까지 마치게 되었고 고장난 Western Digital 500GB SSD를 자가 수리해볼까도 생각했습니다만 새 제품으로 개봉하여 불과 1달도 안되는 사용 기간에 고장나버린 경우여서 Western Digital(WD) AS 센터에서 SSD 보증 교체 받는 방법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SSD 보증 범위 상태 확인

    WD SSD 보증 교환 받는 방법

    Western Digital SSD 보증 교환 받는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A/S 기간이 남았는지 확인해보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보증 범위 상태 확인

    보증 교체 받아야 할 SSD가 Western Digital(WD) 제품이기 때문에 Western Digital 사이트 진입 후 상단 매뉴의 ‘지원 > 보증 서비스’의 순서대로 진입합니다.

    SSD 보증 범위 상태 확인 일련 번호

    ‘보증 범위 상태 확인’ 매뉴가 나타나면 당연한 말이지만 ‘국가 혹은 지역’으로 ‘Korea(Republic of)’를 선택 후 ‘일련 번호’에 Western Digital SSD의 뒷면에 표기된 S/N 넘버(본인의 경우 12자리 숫자)를 적어준 다음 아래의 ‘제출’을 눌러주면 됩니다.

    SSD 제한 보증 적용 중

    제출 버튼을 누르게 되면 잠시 후 화면이 위의 상태로 변경되면서 Western Digital AS 센터에서 교체받으려는 SSD의 보증 상태가 나타납니다.

    SSD 보증 종료 날짜가 2028년까지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보증 상태 항목에 ‘제한 보증 적용 중’이라는 메시지가 나타나 있었습니다.


    아마도 2028년 10월 22일까지 보증되기 때문에 제한 보증 적용이라고 표기된 것으로 추측되었스습니다.

    하지만 보다 정확한 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Digital AS 센터 고객 지원팀에 전화를 걸어 다시 해당 내용에 관한 질문을 던져보려 했는데 직접 전화할 수 있는 연락처가 적혀있지 않았습니다.

    결국 인터넷으로 관련 문제에 관하여 검색해보니 Western Digital SSD 보증 교환 받을 수 있는 AS 센터가 2곳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Western Digital SSD 보증 교환 받는 방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방문 가능한 Western Digital 서비스 센터 2곳의 위치와 연락처는 아래를 참고바랍니다.

    대원씨티에스 서비스센터

    대원씨티에스 서비스 센터

    • 연락처: 1800-0604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109, 나진전자월드빌딩 1층
    • 이용시간: 평일 오전 10시~오후 5시(점심시간 12시~1시, 토/일 휴무)
    • 지하철: 1호선 용산역 3번 출구, 4호선 신용산역 5번 출구, 6호선 효창공원앞역 5번 출구
    • 버스: 용산지하차도, 용산전자상가 하차(간선 400, 505 / 지선 0017, 5012)
    • 홈페이지 문의
    도우정보 서비스센터

    도우정보 서비스 센터

    • 연락처: 1644-7453 (내선 1번)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새창로 181, 선인상가 21동 1층 221호
    • 이용시간: 평일 오전 9시 30분~오후 4시 30분(점심시간 12시~1시, 토/일 휴무)
    • 홈페이지 문의

    저의 경우에는 처음에 대원씨티에스 서비스 센터로 전화 연락했는데 WD 500GB SSD의 뒷면에 적혀있는 S/N 번호를 확인하고는 이곳이 아닌 도우정보 서비스 센터에서 AS 받아야 한다는 설명을 전해주셨습니다.

    잠시 후 다시 도우정보 서비스 센터로 전화 연락하여 동일하게 S/N 번호를 확인하는 절차가 진행된 후 SSD의 불량으로 확인되면 교환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전달받았습니다.

    택배 접수와 서비스 센터 방문 중에서 저는 직접 도우정보 서비스 센터 방문을 선택했으며 다음 날 직접 내방하여 고장난 Western Digital SSD를 교환받았습니다.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방문했다면 잘못된 WD 서비스 센터로 방문하게 되어 쓸데없는 발품을 팔 수 있었던 경우였습니다.

    이상으로 Western Digital SSD 보증 교환 받는 방법에 관한 안내였습니다. END.

  • 모니터 No Signal 신호 없음 해결 방법 총정리

    모니터 No Signal 신호 없음 해결 방법 총정리

    모니터 No Signal 신호 없음 해결 방법 총정리입니다. 의외로 모니터 고장이 아닌 PC 본체 문제인 경우가 많으며 직접 해결 또한 가능합니다.

    어느 날, PC 전원을 눌러 컴퓨터 본체는 작동되고 있었으나 모니터에는 ‘절전모드’ 또는 ‘노시그널(No Signal)’ 및 ‘신호 없음’이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면서 모니터 전원 LED만 깜빡이거나 모니터가 켜지지 않은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니터 노시그널 증상 또는 블랙스크린 증상 등 여러가지 표현으로 불리우기도 하는 이 증상은 의외로 모니터 고장이 아닌 컴퓨터 본체의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방법만 알면 누구나 쉽게 해결 가능하기도 한 문제여서 이번에 자세히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모니터 No Signal 원인

    제가 경험했던 모니터 노시그널(No Signal)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모니터와 PC 본체 사이를 연결해주는 모니터 케이블의 잘못된 연결 및 불량
    2. PC 본체 내부 메인보드의 램과 그래픽카드의 잘못된 장착
    3. PC 본체 외부 충격
    4. 그래픽카드(GPU) 고장
    5. 메인보드 고장
    6. 파워서플라이 고장
    7. 모니터 고장

    총 7개의 원인 중에서 실제로 과반수 이상이 1번과 2번 항목인 모니터 케이블의 잘못된 연결, PC 본체 내부 메인보드의 램과 그래픽카드의 잘못된 장착 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4번, 5번, 6번, 7번 고장 증상인 경우에는 일반 PC 사용자가 직접 해결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가급적 주변의 가까운 컴퓨터 AS 업체에 문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다행인 점은 1번과 2번 고장 증상은 누구나 손쉽게 해결 가능한 경우가 많아 지금부터 직접 모니터 노시그널 신호 없음 해결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모니터 신호 없음 해결 방법

    지금부터 총 모니터 신호 없음(노 시그널)을 해결하는 3가지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모니터 케이블을 올바르게 연결

    이사 또는 컴퓨터의 위치를 이동한 후 PC 본체와 모니터를 다시 연결하는 과정에서 모니터 케이블을 잘못 연결하는 바람에 노시그널 신호 없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지금부터 몇 장의 사진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래픽카드

    컴퓨터 내부에는 그래픽카드가 장착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그래픽카드가 장착된 상태라면 모니터 케이블을 무조건 그래픽카드에 연결해야 하고 그래픽카드가 장착되지 않은 컴퓨터는 PC 뒷면의 메인보드 모니터 케이블 단자에 연결해야 합니다.

    그래픽카드 모니터 케이블 연결

    그래픽카드가 장착된 경우에는 컴퓨터 뒤에서 보았을 때 PC 본체 기준으로 아래 부분에 위의 사진과 같은 HDMI, DVI, DP, D-SUB 단자가 있는 그래픽카드에 케이블을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컴퓨터 본체를 책상 위가 아닌 발 아래에 두고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PC 본체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많아 위와 같은 그래픽카드가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메인보드 VGA 단자 연결

    위의 사진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얼핏 보면 위에서 보이는 모니터 케이블이 연결되는 곳이 보이게 되고 아래에 있는 별도의 그래픽카드가 잘 안보이는 경우가 있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위의 사진처럼 PC 본체 뒤의 메인보드 모니터 케이블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하게 됩니다.

    잘못된 모니터 케이블 연결

    결국 위의 사진처럼 모니터 케이블을 아래에 연결해야 하는데도 잘 보이지 않아 위로 연결해버리는 바람에 잘못된 모니터 케이블 연결로 인하여 모니터 노시그널 신호 없음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간혹 모니터 케이블 불량으로 인하여 해당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기 때문에 여분의 모니터 케이블로 다시 연결하여 테스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2. 올바른 램(RAM) 장착

    두번째로 램(RAM)의 잘못된 장착에 대한 설명을 드립니다. 메인보드의 DIMM(Dual in-line memory module) 슬롯에 연결되는 램이 잘못 장착되는 경우에도 모니터 노시그널 신호 없음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모니터 신호 없음의 3번째 원인인 PC 본체 외부 충격과도 연관되는 문제로 크고 작은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메인보드의 DIMM 슬롯과 램 사이에 문제가 생겨 모니터 노시그널 신호 없음 증상이 나타납니다.

    DIMM 슬롯 램 장착

    위의 사진에 보이는 상하로 길게 장착된 램을 분리하여 다시 올바르게 장착하는 것 만으로 모니터 노시그널 신호 없음 증상이 손쉽게 해결 가능합니다.

    DR 747 BW 100 1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램을 슬롯에서 분리하기는 쉬운데 다시 올바르게 장착하는 것이 생각보다 쉬운 일이 아닙니다.

    또한 올바르게 램을 장착한다고 해도 슬롯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있어도 램 인식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위의 사진처럼 DR-747 등의 강력 먼지 제거제로 불어내 주면 좋습니다.

    램과 슬롯이 접촉되는 부분은 BW-100 등의 접점 부활제를 뿌려준 후 램을 장착하면 훨씬 높은 램 인식률을 보여줍니다.

    램을 올바르게 장착하는 방법은 혼자 무리하게 진행하지 마시고 너튜브 등에 있는 올바른 램 장착 방법 등의 영상을 참고하면 누구나 확실한 방법으로 램을 장착하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PCI E 슬롯

    3. 올바른 그래픽카드 장착

    그래픽카드의 잘못된 장착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너튜브 등의 영상을 참고하면서 그래픽카드 장착 방법을 습득한 후 PCI-E 슬롯과 그래픽카드의 접촉면에 접점부활제 등을 뿌려준 후 먼지 제거제로 이물질을 청소해주면 좋습니다.

    종종 모니터 케이블이 강한 힘으로 당겨져 메인보드의 PCI-E 슬롯에 장착된 그래픽카드가 부분적으로 빠지는 경우도 있어 올바르게 그래픽카드를 다시 장착하는 과정 또한 필수입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간단한 조치로 모니터 노시그널 신호 없음을 해결하는 방법을 안내해드렸습니다.

    실제 컴퓨터 AS를 진행하다 보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대부분의 모니터 No Signal 신호 없음을 해결하곤 합니다.

    무조건 PC수리점에 컴퓨터 AS를 맡기기 보다는 위의 방법을 한번 정도는 시도하시는 것을 권장드리며 이번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 가비아 카페24 워드프레스 이전

    가비아 카페24 워드프레스 이전

    가비아 카페24 워드프레스 이전하며 느꼈던 생각을 적어봅니다. 가비아에서 카페24로 워드프레스 이사하는 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저의 경우, 워드프레스 이전과 관련하여 누구도 주변에서 도와줄 사람이 없어 100% 구글링이나 네이버 검색 등에 의존하였으나 생각보다 쉽지 않은 과정이었고 대략 일주일 정도 고생해가며 마치게 된 가비아에서 카페24로 워드프레스 이전 작업이었습니다.

    새삼스럽게 다시 한번 느끼는 점이지만 인터넷 상의 정보는 복사, 그리고 붙여넣기가 너무 만연하여 실제로 해보면 생각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역시 몸으로 부딛히며 실제로 깨져보는 만큼 늘게되는 워드프레스 테크닉입니다.

    가비아 카페24 워드프레스 이전

    처음 워드프레스를 시작하는 생초보 입장에서 워드프레스 서버를 가비아로 선택했던 것은 크나큰 실수였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떠나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던 저에게 “구글링과 네이버 검색 등을 통하여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만들기 용이하고 서버 속도 또한 빨라 워드프레스를 시작하기에 좋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닷넷이나 카페24 등 국내 서버와 클라우드웨이즈 등의 해외 서버 등을 이용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에서 저는 가비아를 선택하여 워드프레스를 시작하게 되었는데 가비아 서버를 선택한 이유는 아래의 내용을 참고바랍니다.

    가비아 워드프레스 호스팅

    가비아의 워드프레스 호스팅 사양과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트래픽: 무제한
    • 웹: 1기가
    • DB: 1기가
    • 메일: 2개/2기가
    • 설치비: 1만원 / 월 9,500원

    처음에는 아무것도 모른 채 위의 사양과 비용에 만족하여 도메인 비용까지 결재한 후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꾸미게 되었으나 SSL 보안서버 인증서 1년 라이센스 비용 4만원에 설치 대행 비용 3만원까지 총 7만원이 추가로 결재하였습니다.

    카페24 매니지드 워드프레스 빌드업 호스팅

    가비아 서버로 워드프레스를 신청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상대적으로 가성비가 매우 뛰어난 카페24의 워드프레스 서비스를 알게 되었습니다.

    • 빌드업: 설치비 11,000원 / 월 1,100원
    • 트래픽: 1.5기가
    • DB: 무제한
    • SSL: 무료
    • 2개 도메인 추가 연결

    월 500원의 더욱 저렴한 스타트업 상품도 있었으나 나중을 대비하여 한 단계 높은 빌드업 상품으로 선택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SSL이 무료인 점이 너무나 마음에 들었고 실제로 카페24로 워드프레스 이전 후 가비아와 비교했을 때 속도 또한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만족했습니다.

    카페24의 워드프레스 상품 추천

    현재 카페24에서는 워드프레스 전용 상품을 내놓은 상태입니다. 보다 쉽게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으나 실제로 가비아에서 카페24로 워드프레스 이전을 하기 위하여 카페24의 워드프레스 전용 상품에 가입하고 보니 FTP 지원이 안되는 상품이어서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카페24에서 워드프레스를 시작하는 분이라면 워드프레스 전용 블로그 상품을 선택하지 마시고 매니지드 워드프레스 상품을 선택하셔야 FTP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셨으면 합니다.

    가비아 카페24 워드프레스 이전

    워드프레스 이전 플러그인 추천

    마지막으로 워드프레스 서버를 이전할 때 사용되는 플러그인을 하나 추천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가장 추천하는 워드프레스 이전 플러그인은 All-in-One WP Migration 플러그인으로 다른 블로그에서 추천했던 Duplicator 플러그인에 비하여 오류가 적고 사용 방법 또한 매우 간편했습니다.


    All-in-One WP Migration 플러그인 관련 내용으로 조금만 검색해보셔도 누구나 손쉽게 백업과 복구를 포함한 워드프레스 이사에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무리

    오늘 작성한 가비아에서 카페24로 워드프레스 이전 관련 포스팅은 생각보다 쉽지 않았던 이사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이번 글은 전반적으로 느꼈던 제 주관적인 생각 위주의 글이었다면 앞으로의 글은 각각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적어볼까 합니다.

    어떤 점에서 쉽지 않았는지에 관해 적어보면서 앞으로는 워드프레스 서버 이전에 있어 어떻게 해야 실수를 줄일 수 있는 지에 관하여 기록해보고자 하며 이 글을 마칩니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