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Main

main information

  • PC 케이스 LED의 눈부심이 고민이라면

    PC 케이스 LED의 눈부심이 고민이라면

    PC 케이스 LED의 눈부심이 고민이라면? 눈부심 방지 LED 끄기 기능 포함 PC 케이스 선택의 중요성에 관한 글입니다. 눈 건강을 위하여 컴퓨터 케이스의 LED 조명을 ON, OFF 해주세요.

    컴퓨터를 조립하여 판매하다 보면 의외로 PC 케이스의 화려하고 강렬한 조명을 싫어하시는 분이 많았습니다.

    PC방의 대중화로 인하여 개인용 PC 또한 PC방에서 사용되는 화려한 LED 불빛이 번쩍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PC에서 CD-ROM이 점차 장착되지 않게 되면서 PC 케이스의 전면부 디자인이 점점 더 화려해지는데 일조한 것이 바로 컴퓨터 케이스의 화려한 전면부 LED 조명입니다.

    대부분 미들 케이스 등급의 PC 케이스에 적용되고 있는 디자인으로 전면부는 메쉬 타공망 사이에서 뿜어져 나오는 전면부 팬에 LED가 내장되어 있고 측면부에는 투명한 강화유리로 CPU 쿨러의 LED 뿐만 아니라 상단부, 후면부 팬의 LED까지 강렬하게 번쩍이고 있어 시력이 좋지 않은 일부 PC 사용자에게 눈부심으로 인한 피로감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저 또한 시력이 나쁘지 않던 시기에는 화려한 불빛의 LED가 번쩍이는 PC 케이스를 선호했던 기억이 있으나 최근에는 노안 등으로 인하여 시력이 떨어져 어느새 PC 케이스의 강렬한 LED 불빛을 선호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주변 분들께 질문해보니 이런 생각은 저 뿐만 아니라 상당수 많은 분께서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 생각이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PC 케이스 LED의 눈부심이 고민이신 여러분께 PC 케이스 내부의 LED 조명을 ON, OFF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PC 케이스 LED 불빛 ON/OFF 방법 3가지

    PC 케이스 LED 불빛 ON/OFF 방법 3가지를 소개해드립니다.


    1. 메인보드 바이오스의 LED ON/OFF 기능 활용
    2. CPU 쿨러, 그래픽카드 제어 유틸리티 활용
    3. 눈부심 방지 LED 끄기 기능 포함 PC 케이스 선택
    메인보드 바이오스의 LED ON OFF 기능 활용

    첫번째로 메인보드 바이오스의 LED 불빛을 켜고 끄는 기능을 활용한 방법부터 설명드립니다.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 메인보드에서는 Polychrome RGB 기능 등을 활용하여 어렵지 않게 LED 불빛을 끄거나 켤 수 있습니다만 보급형 메인보드에는 LED 조명을 끄거나 켜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어떻게 보면 불완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PU 쿨러 그래픽카드 제어 유틸리티 활용

    두번째로 그래픽카드 제어 유틸리티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PC 케이스의 자체 조명 뿐만 아니라 CPU 쿨러와 그래픽카드에서 나오는 LED 조명 또한 고려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중급형 이상의 CPU 쿨러와 그래픽카드의 경우, 제어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면부 및 측면부에서 밝게 번쩍이는 LED 불빛을 꺼둘 수 있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유틸리티 프로그램이 지원되지 않는 CPU 쿨러와 그래픽카드 모델도 많이 이 또한 불완전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LED ON OFF 기능이 포함된 PC 케이스 사용

    세번째로 LED 불빛을 ON/OFF 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PC 케이스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PC 케이스 LED의 눈부심이 고민이신 분께 가장 확실한 추천 방법으로 눈부심 방지 LED 끄기 기능 포함 PC 케이스 선택을 여러분께 권장드립니다.

    컴퓨터 케이스의 화려한 조명이 신경쓰이면 언제라도 원터치 한 번으로 LED 조명을 끄거나 켤 수 있는 PC 케이스를 사용하시면 대부분의 문제가 한 방에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결론

    위에서 제가 말씀드린 메인보드 바이오스의 LED 불빛을 제어하는 기능 또는 CPU 쿨러와 그래픽카드 제어 유틸리를 활용한 방법은 일부 한계가 있으나 눈부심 방지 LED 끄기 기능이 포함 PC 케이스를 선택을 하여 언제라도 간편하게 LED 조명을 ON OFF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 PC를 구매하실 때나 직접 PC 조립에 활용될 부품을 선택하실 때 PC 케이스 LED의 눈부심이 고민이라면 눈부심 방지 LED 끄기 기능이 포함된 PC 케이스를 처음부터 선택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 그래픽카드 성능을 고려한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

    그래픽카드 성능을 고려한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

    사용 중인 그래픽카드 성능을 고려한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을 이해하여 두 부품 간의 호환성으로 생기는 PC 고장 증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C 게임을 구동하기 위하여 그래픽카드는 업그레이드했으나 기존에 사용하던 파워서플라이는 교체하지 않아 생기는 컴퓨터 고장 증상을 말씀하시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아래의 방법은 많은 분께서 알고 계신 그래픽카드 성능을 고려한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입니다.


    1. 그래픽카드 모델명 확인(예: RTX 3070)
    2. 그래픽카드 모델명 끝 2자리 숫자 확인
    3. 끝 부분 2자리 숫자가 ‘70‘이므로 정격전압 700W 파워서플라이 선택
    4. 한 단계 위 전압 용량의 파워서플라이 권장(예: 750W~850W 파워 권장)

    그래픽카드 모델명을 확인하여 위의 4단계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을 응용하면 새로 장착하거나 업그레이드하려는 그래픽카드에 맞는 파워서플라이를 올바르게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교체 후 컴퓨터 전원 고장의 원인

    예전에 학생 한 명이 저에게 전화를 하여 “그래픽카드 교체 후 컴퓨터 전원 고장이 발생된 것 같다.”는 이야기를 전해주었습니다.

    그래픽카드 교체 후 컴퓨터 전원 고장이 발생되었다면 PCI-E 슬롯에 그래픽카드를 올바르게 장착하지 못했거나 파워서플라이와 연결이 잘못된 경우를 예상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PC 고장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직접 찾아가 그래픽카드 교체 후 컴퓨터 전원 고장의 원인을 파악해보기로 하였습니다.

    먼저 학생이 전화를 주었고 그 다음으로 아버지의 요청이 있어 PC수리를 위한 점검을 위하여 찾아가보니 그래픽카드는 RTX 3060을 새롭게 구매한 후 사용 중인 PC 메인보드에 연결한 상태에서 컴퓨터 전원이 꺼졌다 켜지는 ON/OFF 증상이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컴퓨터 내부의 배선 정리가 잘 되어 있지 않았고 무엇보다도 그래픽카드 장착 상태 또한 좋지 않아 보여 확실히 PC 조립에 서투른 중학생이 조립한 티가 났습니다.

    이어서 파워서플라이 방향으로 눈길을 돌렸는데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350W 파워서플라이와 RTX 3060이 연결되어 있었던 것입니다.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60 급의 그래픽카드는 최소 정격 전압 550W 급의 파워서플라이를 이용해야 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하려면 750W 급의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번 PC 전원 고장에 대한 점검을 요청한 학생과 아버지는 단순히 그래픽카드만 교체하면 문제없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던 모양입니다.

    테스트용 600W 파워서플라이로 교체하여 다시 전원을 켜보니 언제 그랬냐는 듯이 PC가 정상 작동되기 시작합니다.

    윈도우 바탕화면 진입 후 이번 고장 증상에 대하여 학생에게 간단히 설명한 후, 아직 퇴근하지 않아 직장에 있는 아버지에게 전화하여 다시 한번 PC 고장 증상의 원인인 350W 파워서플라이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잠시 후, 아버지의 동의 후 그 자리에서 즉시 안정적인 750W 모듈러 파워서플라이로 교체하여 그래픽카드 교체 후 컴퓨터 전원 고장 원인을 해결하였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

    그래픽카드 성능을 고려한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

    서론이 매우 길었습니다. 위의 글은 단순히 그래픽카드만 교체했다가 파워서플라이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아 생긴 대표적인 고장 증상이었습니다.

    사실 비슷한 문제로 PC 전원 고장 증상을 질문해주시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을 이해하여 그래픽카드 모델명을 파악한 후 이에 맞는 파워서플라이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금부터 그래픽카드 모델명으로 파워서플라이 용량 확인 방법에 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엔비디아 GTX 1650 그래픽카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저희같은 PC수리업자의 경우,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그래픽카드 모델명에서 뒤의 두 자리 숫자에 집중합니다. GTX 1650 모델이면 뒤의 두 자리 숫자인 50만 본다는 것입니다.


    GTX 1650은 최소 정격 전압 450W 이상의 파워서플라이가 필수이고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략 500W 급의 파워서플라이가 권장됩니다.

    ‘GTX 1650’의 끝 두 자리 숫자가 ’50’으로 끝나기 때문에 500와트 파워서플라이로 사용하시도록 조치하면 PC 고장 증상 없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RTX 2070을 예로 들어볼까요?

    마찬가지로 ‘RTX 2070‘의 끝 두 자리 숫자가 ’70’으로 끝나기 때문에 정격 전압 700와트 급의 파워서플라이를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지포스 RTX 2070을 유통하는 업체의 이야기로는 정격 전압 550W 급의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하면 문제가 없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로 현장에서 컴퓨터 AS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500와트 급의 파워서플라이에서는 PC 고장 증상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많이 경험했습니다.

    RTX 2070 급의 그래픽카드는 최소 600W에서 750W 파워서플라이를 장착하면 큰 문제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메인스트림급 그래픽카드인 RTX 4080을 예로 들어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을 알아볼까요?

    끝 자리 두 숫자가 ’80’으로 정격 전압 800와트 급의 파워서플라이는 필수이며 1000W 급의 파워서플라이를 권장드리는 편입니다.

    마무리

    요약 정리하자면, PC에서 사용하려는 그래픽카드 모델명의 끝 두 자리 숫자를 이용하여 그래픽카드에 맞는 파워서플라이 용량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해당 파워서플라이 선택 방법은 저 뿐만 아니라 많은 분이 알고 계시리라 생각되지만 그래픽카드에 맞는 파워서플라이를 선택하기 위해 고민하고 계신 분을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물론 그래픽카드 제조사 및 유통사가 권장하는 파워서플라이 용량을 알아본 후 선택하는 방법도 있으니 사용하려는 그래픽카드 제조사와 유통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권장 용량의 그래픽카드를 더 알아보시면 확실한 선택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덧붙여 말씀드리면 그래픽카드 유통사 및 판매처에서 권장하는 파워서플라이 용량보다 한 등급 위의 전압을 가진 파워서플라이로 선택하시면 그래픽카드를 매우 안정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파워 소음은 더 줄어들고 전기료 또한 더욱 낮게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적극 추천드립니다.

    파워서플라이는 PC 내부의 각종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매우 중요한 부품입니다.

    종종 그래픽카드에는 많은 비용을 투자하면서도 파워서플라이의 중요성을 잘 몰라 투자에 소홀하시는 분이 많아 기 글을 남깁니다. 이상으로 그래픽카드에 맞는 파워서플라이 용량 선택 방법이었습니다.

  • 그래픽카드 모델명 확인 방법과 성능 비교법

    그래픽카드 모델명 확인 방법과 성능 비교법

    그래픽카드 모델명 확인 방법과 성능 비교법까지 한번에 알아보고 향후 컴퓨터 구매와 업그레이드에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하는데 있어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계신 분이라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겠으나 자기 자신을 이른바 ‘컴맹’이라고 생각하시는 분 또는 상대적으로 PC에 관해 어려움을 겪는 분이라면 그래픽카드 모델명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다양한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비교하는 데 있어 어렵게 느껴진다고 생각되실 것 같습니다.

    컴퓨터 업그레이드 필수 지식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을 요약 정리하여 몇 번에 걸쳐 포스팅해볼 계획입니다.

    해당 내용은 제가 직접 PC 수리하면서 고객을 대상으로 알려드리는 내용 위주가 될 것이며 최대한 어렵지 않게 복잡한 내용은 지양하면서 서술해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그래픽카드 모델명을 확인하고 더불어 각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비교하는 글을 우선 적어보겠습니다.

    컴퓨터를 업그 레이드하는데 필요한 필수 지식은 그래픽카드 정보 이외에도 상당히 다양하지만 고성능의 PC를 구성하고 고사양 게임을 구동하는데 있어 많은 분께서 관심을 가지는 부품 우선 순위는 그래픽카드이기 때문입니다.

    NVIDIA AMD INTEL

    그래픽카드 제조사와 모델명

    그래픽카드 제조사는 크게 3개의 기업이 있습니다.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엔비디아, 엔비디아를 추격하는 입장에 선 AMD, 그리고 최근 들어 본격적인 외장형 그래픽카드 시장에 뛰어든 인텔 등이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PC 시장에서는 주로 엔디비아와 AMD가 그래픽카드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므로 엔비디아, AMD 위주로 모델명을 구분하도록 하겠습니다.

    엔비디아(NVIDIA) 그래픽카드

    일명 지포스 그래픽카드로 불리우는 엔비디아(NVIDIA)의 그래픽카드입니다.

    엔비디아는 전 세계적으로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그래픽카드 제조사로 PC 게임 유저에게 있어 없어서는 안될 GTX 및 RTX 그래픽카드를 제조하고 있으며 예전에는 GT, GTS 라인을, 얼마 전까지는 GTX 라인을, 그리고 현재에는 고성능 그래픽카드인 RTX 급의 그래픽카드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간단한 문서 작업과 인터넷 검색이 주 목적인 사무용 PC의 경우에는 CPU 내부에 있는 내장 GPU 기능 만으로 별도의 그래픽카드 장착 없이 사용이 가능하지만 게임 등의 3D 작업 등을 목적으로 하는 많은 분이 엔비디아의 GTX 또는 RTX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AMD 라데온(RADEON) 그래픽카드

    엔비디아의 뒤를 추격하는 AMD 라데온(RADEON) 그래픽카드입니다.

    AMD의 시장 점유율이 무시 못할 수준이었던 과거와 달리 최근 들어 엔비디아에 밀려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아직까지도 여전히 AMD 브랜드를 선호하는 충성 고객층이 꽤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동급의 그래픽카드라고 하더라도 엔비디아 제품보다 조금 더 저렴한 장점도 있습니다.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는 과거 다양한 등급과 명칭으로 구분되었습니다만 현재에는 게임용 그래픽카드로 RX 제품군을, 서버 및 전문 작업을 위한 그래픽카드로 PRO 제품군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보다 대중적인 게이밍 그래픽카드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그래픽카드 모델명 확인 방법

    자신이 사용 중인 PC에 장착된 그래픽카드 모델명을 확인하는 방법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윈도우 바탕화면 왼쪽 아래의 돋보기 검색창에 ‘장치 관리자’ 입력
    2. 장치 관리자 선택 후 ‘디스플레이 어댑터’ 항목 확인
    3. 디스플레이 어댑터 항목을 더블클릭하여 그래픽카드 정보 확인
    4. AMD 라데온 또는 NVIDIA 지포스 그래픽카드의 모델명 확인

    위의 그래픽카드 모델명 확인 방법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바랍니다.

    장치관리자

    윈도우 바탕화면 왼쪽 아래에 보이는 돋보기 검색창에 한글로 ‘장치 관리자’라고 입력합니다.

    (중간에 꼭 띄어쓰기해주세요.) 이후 윗 부분에 제어판의 내부 항목인 장치 관리자가 나타나는데 곧바로 클릭해줍니다.

    디스플레이 어댑터

    윈도우의 장치 관리자가 나타나면 ‘디스플레이 어댑터’ 항목을 찾아줍니다.

    디스플레이 어댑터 항목에 사용 중인 그래픽카드의 정보가 숨어 있으므로 마우스를 이용하여 좌측의 꺽쇠 부분을 한번 클릭해줘야 디스플레이 어댑터 항목을 더블클릭해주면 사용 중인 그래픽카드의 정보가 나타나게 됩니다.

    제가 사용하는 PC의 경우에는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60 Ti’가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성능 비교법

    내 PC에서 그래픽카드 모델명 확인 방법을 알아보았으므로 이어서 그래픽카드 성능 비교 방법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래픽카드를 비롯한 PC 부품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벤치마크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만 자세하진 않아도 그래픽카드 모델명으로 간단히 성능 또한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GTX 1060 SUPER 그래픽카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앞에 GTX가 붙어 있으므로 발매 당시 하이엔드 라인으로 출시된 제품입니다.
    • 1060에서 앞의 10은 발매 시기, 뒤의 60은 성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 모델명 뒤에 SUPER, Ti 등이 따라오며 여러 등급으로 나뉩니다.

    예를 들어 GT 960과 GTX 1070을 비교해봅시다.

    GT의 경우 GTX보다 아래 등급이므로 GT 960은 GTX 1070보다 낮은 성능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GT 960의 9는 발매 시기를 의미하여 GTX 1070의 7보다 상대적으로 늦은 발매 시기를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GT 960의 60, GTX 1070의 70이라는 숫자를 보면 GTX 1070이 상대적으로 높은 성능을 가졌다는 사실을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외도 있습니다.

    RTX 급의 그래픽카드는 GTX 급의 그래픽카드보다 숫자가 낮아도 상대적으로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그래픽카드의 비디오 램 용량이 특정 게임 구동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경우 또한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위의 그래픽카드 성능 확인 방법을 알아두면 그 자리에서 대략적인 성능을 비교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밖에 SUPER, Ti, MINI, OC 등으로 구분되는 자세한 성능 확인은 벤치마크 성능 비교 사이트를 이용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손쉬운 그래픽카드 성능 비교법

    제가 어중간하게 설명하여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간단하게 그래픽카드 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Tip이 있어 마지막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GTX 1080 Ti와 RTX 2070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서로 비교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면 구글, 네이버 등의 포털사이트 검색창에 ‘GTX 1080 Ti RTX 2070’의 형식으로 검색해봅니다.

    손쉬운 그래픽카드 성능 비교법

    위와 같이 두 종류 이상의 그래픽카드 모델명으로 검색해보면 검색 결과 상단에 대략 원하는 정보가 담겨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손쉬운 그래픽카드 성능 비교법도 있으니 고민하지 마시고 당장 네이버나 구글 등의 포털사이트에 검색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몇 가지 예를 들어 다양한 그래픽카드 모델명 확인과 성능 비교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컴퓨터 구매와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는 경우, 그래픽카드 모델에만 너무 집착하지 마시고 해당 그래픽카드를 원활하게 구동시켜주는 파워서플라이에도 신경써야 한다는 점입니다.

    아무리 좋은 그래픽카드를 마련하셨더라도 성능이 좋지 않거나 낮은 등급의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하신다면 PC 고장으로 이어져 또 다른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음 기회에는 그래픽카드와 CPU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파워서플라이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면서 그래픽카드 모델명 확인과 성능 비교 방법 관련 내용을 마무리하겠습니다. END.

    그래픽카드 성능을 고려한 파워 서플라이 선택 방법이 궁금하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