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Main

main information

  • 구글 애드센스 지급 정보 빨간색 박스 세금정보 추가 해결 방법

    구글 애드센스 지급 정보 빨간색 박스 세금정보 추가 해결 방법

    구글 애드센스 지급 정보에 보이는 빨간색 박스에 쓰여진 세금정보 추가 해결 방법에 관한 안내입니다. “판매 대금 지급의 지연을 방지하고 정확한 금액이 세금으로 원천징수될 수 있도록 간능한 한 빨리 싱가포르 세금 정보를 제공해 주세요.” 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구글 애드센스 세금정보 추가 방법

    우선 간단한 조치로 구글 애드센스 지급 정보에 보이는 빨간색 박스 안에 쓰여진 세금정보 추가에 관한 해결 방법을 6단계로 요약 설명드립니다.

    1. 구글 애드센스 > 지금 > 지급 정보 경로를 통해 세금정보 추가 항목 확인
    2. 빨간색 박스의 ‘세금정보 추가’ 클릭
    3. 두 개의 버튼 중에서 아래에 보이는 ‘세금정보 추가’ 클릭
    4. ‘양식 시작’ 클릭
    5. ‘개인/개인 사업자’ 및 ‘아니요’ 항목 선택 후 ‘제출’ 클릭
    6. 싱가포르 세금 정보 승인 및 ‘수락됨’ 확인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이어지는 설명을 읽고 따라오시면 “판매 대금 지급의 지연을 방지하고 정확한 금액이 세금으로 원천징수될 수 있도록 간능한 한 빨리 싱가포르 세금 정보를 제공해 주세요.” 관련 문제를 쉽게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해외송금 편하게 받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애드센스 세금정보 추가 메시지 원인

    어제 있었던 일입니다.

    심심해서 남편이 이용하는 티스토리 블로그와 함께 이용 중인 구글 애드센스 계정을 살펴보다가 결제 항목에서 빨간 무언가가 떠 있는 것을 확인하여 깜짝 놀랐습니다. 바로 그건..

    판매 대금 지급의 지연을 방지

    붉은색 박스에는 “판매 대금 지급의 지연을 방지하고 정확한 금액이 세금으로 원천징수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빨리 싱가포르 세금 정보를 제공해 주세요.“라고 쓰여져 있었으며 바로 우측에 ‘세금정보 추가’ 버튼이 보였습니다.


    해당 메시지의 원인은 아무래도 세금 원천징수를 위한 정보를 구글에 제공해야 한다는 이유로 보였습니다.

    아내의 경우 티스토리 블로그를 이용하여 다른 분과 달리 아주 소액만 입금되던 터라 지금까지 거의 신경쓰지 않고 가끔 몇 달에 100달러 정도 입금되고 있어 이 부분을 크게 신경쓰지 않고 있었습니다.

    세금정보 추가

    애드센스 빨간색 박스 해결 방법

    아무래도 세금 정보 제공이 되지 않는다면 더 귀찮고 복잡한 문제에 빠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여 구글 애드센스 > 지금 > 지급 정보 경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빨간색 박스의 세금정보 추가 항목을 눌러봅니다.

    세금 정보 관리 세금정보 추가

    세금정보 추가 버튼이 2개 보이는데 그 중에서 아래에 보이는 세금정보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양식 시작

    세금정보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선명하고 컬러로 된 납세자 유형 서류의 PDF, PNG 또는 JPEG가 있어야 한다는 안내문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말고 ‘양식 시작’을 눌러줍니다.

    싱가포르 세금 정보

    이후 ‘싱가포르 세금 정보’ 항목이 나타나게 되는데 저는 순서대로 비즈니스 유형에 ‘개인/개인 사업자’를 입력하고 고정 사업장 항목에 ‘아니요’를, 싱가포르 상품서비스세(GST) 항목에 ‘아니요’를, 세금 면제 항목과 다른 면세 또는 더 낮은 세율이 적용되는 대상에 각각 ‘아니요’를 선택한 후 제출 버튼을 눌렀습니다.

    싱가포르 세금 정보 수락됨

    제출 버튼을 누르면 화면이 전환되면서 싱가포르 세금 정보의 상태가 ‘수락됨’으로 표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단에는 미국 또한 세금정보 추가 항목이 보였으나 애초에 빨간색 박스에 싱가포르 세금 정보를 제공해달라고 쓰여져 있었으므로 미국 세금정보 추가는 클릭하지 않았습니다.

    위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업태는 개인 사업자로, 고정 사업장은 아닌 것으로 되어 있고 조세 조약 대상과 기타 면세 대상 또한 아닌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만 추후에 변경될 수 있다면 ‘세금 정보 업데이트’를 눌러 변경된 항목을 입력하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확인

    지금까지 잘 따라오셨다면 아래와 같이 결과물을 확인해볼 때입니다.

    싱가포르의 세금 정보가 승인되었습니다

    모든 조치 후 다시 한번 ‘구글 애드센스 > 지금 > 지급 정보 경로’를 통해 세금정보 추가 항목을 확인해보면 위와 같이 “싱가포르의 세금 정보가 승인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 지금은 위와 같은 간단한 조치로 해결되어 다행이었던 구글 애드센스 지급 정보에 보이는 빨간색 박스 세금정보 추가 해결 방법에 관한 내용을 6단계로 요약 정리해보았습니다.

  •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

    구형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완벽 해결 방법입니다. 부트캠프 없이 윈도우 10을 설치 후 소리가 들리지 않는 문제를 경험하는 분을 위한 솔루션입니다.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

    맥북에서 부트캠프 없이 윈도우 10 설치 후 사운드 문제로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경우에 대한 해결 방법입니다.


    1. 맥북 사운드 문제 해결 진입 후 관련 압축 파일 다운로드
    2. 로컬디스크 C 경로에 dsdt 폴더 압축 해제
    3. wdksetup.exe 파일을 실행하여 ‘Windows Driver Kit’ 설치
    4.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 실행 후 cd c\dsdt 관련 명령어 입력
    5. 각각의 명령어 입력 후 엔터
    6. 맥북에 설치된 윈도우 10 재부팅 후 사운드 소리 설정 확인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을 위하여 명령 프롬프트 창에 입력하는 메시지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 바랍니다.

    A1278

    A1278 노트북은 맥북을 사용하는 친구가 이제는 오래되어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고 건내준 구형 맥북 프로 모델입니다.

    한동안 맥북을 잘 사용해오던 친구인데 SSD가 없는 모델이어서 속도가 느리고 메모리 또한 4기가 램밖에 장착되어 있지 않아 얼마 전에 새 노트북을 구매한 후 저에게 구형 맥북 프로를 건내주었습니다.

    사실 저는 맥북에 대한 간단한 수리만 해보았을 뿐, 제 개인 노트북으로 맥북을 사용해본 적이 단 한번도 없습니다.

    맥북 프로 A1278 분해

    평소에 윈도우 운영체제를 선호하고 맥 OS를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던 것이 가장 큰 이유이지 않나 생각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맥 OS를 그대로 사용하면 좋겠지만 대한민국의 인터넷 환경에서는 아무래도 맥 OS 보다는 윈도우 OS가 편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윈도우 운영체제를 맥북에 설치하여 사용하시는 분이 매우 많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부트캠프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거나 윈도우 스피커에 X 표시가 나타나며 사운드 설정이 되지 않아 소리를 들을 수 없다고 말씀하시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그래서 제 개인 맥북에 SSD와 램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면서 마지막으로 맥북 윈도우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을 위하여 윈도우 10 설치 후 사운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까지 길지만 한번에 담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맥북 프로 A1278 사양

    구형 맥북 프로 A1278 사양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을 안내해드리기에 앞서 2010년에서 2011년 사이 출시된 모델로 보이는 구형 맥북 프로 A1278의 제품 사양입니다.

    • 2.5GHz 듀얼 코어 인텔 코어 i5, 3MB L3 캐시(터보 부스트 최대 3.1GHz)
    • 4GB 1600MHz DDR3 SDRAM(4기가 램)
    • 500GB 5400rpm 하드 드라이브(노트북 하드 500기가)
    • 13.3인치 LED 배경조명 글로시 와이드스크린 모니터(1280*800)
    • 인텔 HD 4000 내장 그래픽
    • 내장 FaceTime HD 카메라
    • 8x 슬롯 로딩 방식의 SuperDrive
    • 고속 I/O 및 미니 디스플레이포트 장비를 지원하는 썬더볼트 포트
    • SDXC 카드 슬롯, FireWire 800 포트, USB 3.0 포트 2개
    • 광학 디지털 오디오 출력 / 아날로그 라인 출력, 스테레오 스피커
    • 10/100/1000BASE-T 이더넷
    • 802.11n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4.0
    • 배경조명 키보드 및 주변광 센서
    • 맥 OS X 및 iLife가 미리 설치됨
    • 크기 및 무게: 32.5×22.7×2.41cm, 2.06kg
    • ENERGY STAR 요구 사항 준수

    듀얼코어 i5-3210M CPU가 장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램, SSD 업그레이드 후 매우 쓸모있는 노트북이 되었습니다.

    대략 5~6년 전에 생산된 윈도우 노트북보다도 더욱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어 애플의 기술력을 새삼스럽게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되는 제품입니다.

    점검 결과 노트북 배터리는 너무 오래되어 충전이 전혀 되지 않는, 다시 말하자면 죽은 상태로 되어 있어 DDR3 8기가 램 2개와 함께 함께 구형 맥북 프로 A1278에 호환되는 호환 배터리까지 교체하였습니다.

    맥북 프로 A1278 분해 과정

    램과 SSD 업그레이드와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한 맥북 프로 A1278의 분해 과정입니다.

    위의 사진에 보이는 총 10개의 나사를 풀러 하단부 덮개를 제거하면 되는 간단한 분해 방식입니다.

    노트북의 경우 종종 검정색 고무 지지대를 벗겨내면 숨겨져 있는 나사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 해당 맥북 프로 A1278 모델은 눈에 보이는 나사만 제거하면 됩니다.

    A1278 나사

    하단부 덮개 제거

    처음에는 작은 사이즈의 십자 드라이버만 있어도 하단부 덮개 제거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나중에 내부의 맥북 배터리를 제거하려면 Y형 드라이버도 준비해주셔야 합니다.

    A1278 나사 분해

    맥북 프로의 나사를 풀다 보면 작은 나사 이외에도 위의 사진처럼 길다란 나사가 몇 개 보입니다.

    위치를 기억해둔 후 나중에 다시 조립할 때 실수하지 않도록 합니다.

    A1278 하드디스크

    맥북 프로 SSD 업그레이드

    맥북 프로 A1278의 내부 모습입니다.

    5400rpm의 노트북 하드디스크를 탈거한 후 2.5인치 240기가 SSD로 업그레이드 및 2기가 노트북 램 2개를 모두 제거하고 8기가 노트북 램 2개를 추가 업그레이드할 계획입니다.

    또한 더 이상 충전되지 않는 맥북 배터리도 새 제품으로 교체할 준비를 해둔 상태입니다.

    저의 경우, 윈도우 10 이상의 최신 운영체제를 설치할 때는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모두 SSD를 필수 장착하고 있습니다.

    위의 노트북용 2.5인치 하드디스크는 5400rpm 성능으로 기본 속도가 느린 제품이지만 상당히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어 안그래도 느린 하드디스크 속도가 더욱 느려진 상태여서 맥북 프로 SSD 업그레이드를 위한 교체가 필수인 상태입니다.

    A1278 하드디스크 제거

    마찬가지로 작은 십자 드라이버만 있으면 맥북 하드디스크 또한 간단히 분리가 가능합니다.

    맥북 하드디스크는 SSD와 마찬가지로 동일 규격의 2.5인치 사이즈이기 때문에 주변에서 굴러다니는 2.5인치 SSD로 즉시 교체하였습니다.

    참고로 요즘처럼 램 가격과 SSD 가격이 저렴하던 시기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메모리 업그레이드와 SSD 업그레이드하기 좋은 요즘입니다.

    맥북 프로 A1278 SSD 업그레이드

    기존의 맥북 하드디스크를 분리하고 새롭게 240기가 SSD를 장착한 모습입니다.

    분리가 워낙 간단하여 장착 또한 어려움없이 마무리된 맥북 프로 SSD 업그레이드 작업입니다.

    참고로 저는 부트캠프를 통한 윈도우10 설치를 진행하지 않고 프리도스 노트북에 윈도우 10을 설치하듯이 윈도우10 설치용 USB 메모리를 이용하여 맥북 프로에 윈도우10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맥 OS가 설치된 노트북용 하드디스크는 전혀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맥북 프로 A1278 8기가 램 업그레이드

    맥북 프로 램 업그레이드

    두번째 작업으로 맥북 프로 A1278에 장착된 2GB 1Rx8 PC3-12800S 노트북 램을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해당 2기가 노트북 램을 분리하면 동일한 2기가 노트북 램이 하나 더 장착되어 있습니다. 양쪽의 작은 손잡이를 양쪽으로 당겨주면 알아서 분리되는 간단한 방식입니다.

    그런데 노트북의 메모리 업그레이드의 경우, 데스크톱 PC의 메모리 업그레이드에 비해 사양을 조금 타서 새롭게 장착한 램이 제대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호환 여부를 정확히 파악한 후 장착하고자 하는 노트북 램을 구매해야 하겠습니다만 저는 특별히 알아보는 일 없이 노트북 램 8기가 제품을 2개 주문했습니다.

    맥북 프로 A1278 16기가 램 업그레이드

    DDR3L 8G 1600MHz 8GB SODIMM PC3-12800 노트북 램을 3만원도 안되는 가격에 2개 주문했습니다.

    맥북 프로 A1278의 메모리 확장 여부를 알아본 결과 노트북 램 8기가 제품을 2개 장착하는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위의 DDR3L 8G 1600MHz 8GB SODIMM PC3-12800 노트북 램 구매처가 궁금하시다면?

    단돈 3만원으로 위의 8기가 램 2개를 모두 장착한 후 총 16기가 램으로 맥북이 상당히 쾌적하게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번에 구매한 맥북 프로 업그레이드에 사용된 부품을 어디서 구하는지 궁금하신 분이 별도의 댓글을 달아주시면 구매처도 함께 남겨두도록 하겠습니다.

    맥북 프로 A1278 RAM 업그레이드

    기존의 노트북용 2기가 램 2개를 모두 제거한 후 노트북용 8기가 램 2개를 모두 장착하여 총 16기가 램으로 업글레이드하여 맥북 프로의 정상 인식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어서 A1278의 맥북 프로 배터리 교체 작업입니다.

    맥북 프로 A1278 배터리 분해

    맥북 프로 배터리 교체

    붉은색 사각형에 보이는 배터리 단자를 손가락으로 가볍게 당겨주면 되는 매우 간단한 방식이었습니다.

    이후 노트북 주변의 나사를 풀어주면 되는데 문제는 여기서 십자 드라이버가 아닌 Y 모양의 드라이버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맥북 프로 A1278 배터리 교체

    저야 Y자 드라이버가 준비되어 있습니다만 별도의 Y자 드라이버가 준비되지 않은 분이라고 하더라도 A1278 호환 배터리를 구매 후 제품 박스 안에 Y자 드라이버가 포함되어 있어 간단한 배터리 분리와 장착이 가능합니다.

    맥북 프로 A1278 배터리 A1322

    맥북 프로 A1278 호환 배터리

    참고로 맥북 프로 A1278에서 호환 가능한 배터리는 A1322 모델입니다.


    • Fit Brand: A1322
    • Voltage: 10.95V 5800mAh
    • Capacity: 63.5wh
    • Type: Li-ion
    • Cells QTY: 6 Cells
    • 공구 포함

    노트북 램이야 고민 없이 주문했으나 맥북 프로 호환 배터리의 경우, 최대한 주의를 기울여 주문했습니다.

    위의 맥북 프로 A1278 호환 배터리 구매처가 궁금하시다면?

    제가 구매한 곳은 다른 곳과 달리 해외 배송이 아닌 관계로 노트북 램처럼 이틀 후 신속한 배송이 되어 만족스러웠습니다.

    맥북 프로 배터리 호환 목록

    애플 맥북 노트북 모델에 따른 배터리 모델명 호환 목록입니다. 저와 같이 A1278이 아니더라도 위의 목록을 참고하여 준비하시면 됩니다.

    구형 맥북 윈도우10 설치

    구형 맥북 윈도우 10 설치

    이제 구형 맥북 A1278의 하드웨어 업그레이드는 모두 마무리되어 본격적인 맥북 윈도우 10 설치 작업으로 넘어갑니다.

    윈도우 10 설치용 USB 메모리를 연결한 후 맥북의 전원 버튼을 누르자 마자 Option/Alt 키를 눌러주면 위의 사진처럼 노란색의 UBS 메모리가 표시되는데 마우스로 EFI Boot 하단부에 화살표를 위치시키면 동그란 흰색 화살표가 나타납니다.

    흰색 화살표를 누르게 되면 윈도우 10의 본격적인 설치가 바로 시작되는 간단한 방식입니다.

    구형 맥북 부트캠프 없이 윈도우10 설치 성공

    구형 맥북 윈도우 10 설치 과정을 보면 아시겠지만 다른 분의 후기와 다르게 부트캠프 없이 윈도우 10 설치를 하게 되었습니다.

    맥 OS와 부트캠프가 설치되어 있었던 기존 맥북 하드디스크를 분리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습니다만 의외로 깔끔하게 윈도우 10을 클린 설치하게 된 것같아 매우 만족스러웠고 부팅 속도 또한 매우 빨랐습니다.

    구형 맥북 16기가 램 인식

    맥북 프로 스피커 X 표시 문제

    이렇게 구형 맥북 프로에 SSD 업그레이드와 16기가 램 모두 정상 인식되어서 더욱 뿌듯했습니다만 잠시 후 큰 문제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 관련 포스팅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구형 맥북 소리 안들리는 문제

    맥북 프로 A1278 액정의 우측 하단을 보면 스피커에 붉은색 X 표시가 보이는데 사운드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맥북 터치패드 드라이버 또한 정상적인 설치가 되지 않아 우측 버튼 클릭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맥북 드라이버 설치

    Brigadier로 맥북의 각종 드라이버 다운로드

    결국 맥 OS에서 제공하는 Brigadier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부트캠프용 맥북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기로 합니다.

    맥북 드라이버 설치 유틸리티 Brigadier를 내려받을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하여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2023년 11월 현재 Brigadier 0.2.6 버전 이용이 가능합니다.

    일단 맥북 마우스패드가 정상 작동을 하지 않는 등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원활한 인터넷 서핑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업무용 데스크톱 조립 PC를 이용하여 위의 경로로 접속하여 해당 파일을 내려받았습니다.

    맥북 부트캠프 드라이버 다운로드 설치

    우선 맥북에 랜선을 연결하여 인터넷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한 후 다운로드받은 Brigadier 유틸리티를 USB 메모리에 저장하여 맥북 프로에 연결하고 원활한 작업을 위해 유선 마우스 또한 맥북에 연결하였습니다.

    USB 메모리 내부에 저장된 ‘Brigadier.exe’ 파일에 마우스 화살표를 위치시킨 후 마우스 우측 버튼을 눌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진행합니다.

    윈도우10 부트캠프 설치

    이후 위의 화면처럼 퍼센트가 올라가며 사용 중인 맥북의 버전에 맞는 부트캠프용 드라이버 파일이 동일 USB 메모리 경로에 자동으로 저장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BootCamp 폴더로 진입하면 ‘setup.exe’ 파일이 있는데 역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하면 윈도우 10에서 맥 OS의 부트캠프를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맥북 윈도우10 터치패드 설정

    부트캠프를 윈도우 10에 설치한 이유는 맥 OS의 부트캠프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VGA 드라이버, 터치패드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입니다.

    해당 부트캠프 없이도 윈도우 10 설치는 가능하니 오해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어쨋든 부트캠프 제어판을 통해 트랙패드 조작이 가능해져 윈도우용 노트북처럼 터치패드의 조작이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인 사운드 드라이버는 여전히 정상적인 설치가 되지 않아 유튜브 영상과 음악 재생 시 소리가 들리지 않는 문제도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맥북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을 지금부터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맥북에서 부트캠프를 이용하지 않고 윈도우 10 설치 후에 사운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국내 포스팅 정보에서는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으로 쓰여진 경우라도 대부분 대충 얼버무리고 넘어가는 내용인지라 어쩔 수 없이 해외 포럼을 검색하여 알아낸 방법으로 의외로 간단히 해결 가능하기 때문에 아래의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 글을 잘 읽고 따라오시면 됩니다.

    DSDT

    가장 먼저 맥북 사운드 문제 해결로 진입하여 관련 압축 파일을 내려받습니다. 이어서 해당 ‘dsdt.zip’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윈도우 10이 설치된 로컬디스크 C 드라이브 경로에 dsdt 폴더를 압축해제합니다.

    windows driver kit

    로컬디스크 C 드라이브 경로에 저장한 dsdt 폴더 내부의 ‘wdksetup.exe’ 파일을 실행하여 ‘Windows Driver Kit’을 설치합니다. ‘Next’ 버튼을 계속 눌러 기본 설정으로 설치를 완료합니다.

    관리자 명령 프롬프트

    지금부터가 본격적인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을 위한 작업입니다.

    1. 윈도우 시작버튼 > Windows 시스템 > ‘명령 프롬프트’가 보이면 마우스 우측을 클릭 > ‘자세히’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의 순으로 눌러주면 ‘관리자: 명령 프롬프트’가 실행됩니다. 이후 명령 프롬프트 창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거나 아래의 글을 그대로 복사하여 ctrl+v로 붙여넣기한 후 enter 키를 누릅니다.

    cd c:\dsdt
    set 64bit_OS_asl=”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Tools\x64\ACPIVerify\asl.exe”
    set 32bit_OS_asl=”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Tools\x86\ACPIVerify\asl.exe”
    copy /y %32bit_OS_asl% c:\dsdt > nul & copy /y %64bit_OS_asl% c:\dsdt > nul

    1. 그 다음 아래와 같이 입력하거나 아래의 글을 그대로 복사 후 ctrl+v로 붙여넣기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asl /loadtable fix-audio-driver.aml

    1. 이어서 아래와 같이 입력 또는 복사하여 ctrl+v로 붙여넣기 및 enter 키를 눌러줍니다.

    bcdedit -set TESTSIGNING ON

    1. 마지막으로 맥북의 윈도우 10을 재부팅해줍니다. 해당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는지 확인하시려면 위의 사진을 참고하여 거의 동일하게 진행되었다면 성공입니다.
    Cirrus Logic CS4206B

    맥북에서 윈도우 10이 재부팅되었다면 즉시 스피커 상태를 확인해봅니다.

    붉은색 X 모양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었던 스피커 모양이었던 기존 상태와 비교하였을 때 클릭하면 스피커(Cirrus Logic CS4206B)라고 표시되는 모습이 확인 가능하고 맥북 사운드 볼륨 또한 조절 가능한 것이 확인되면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을 통하여 구형 맥북의 소리 안들리는 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된 것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마무리

    구형 맥북 프로인 A1278의 램, SSD 업그레이드와 A1322 배터리 교체를 포함한 내용과 함께 부트캠프 없이 윈도우 10 설치 후 잡히지 않는 사운드 소리 설정 문제까지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을 적어보았습니다.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 관련 포스팅이 생각보다 내용이 많이 길어져 조잡한 글이 되었습니다만 부트캠프없이 구형 맥북에 SSD를 장착한 후 윈도우 10을 사용하시는 분 중에서 사운드가 들리지 않아 고민인 분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에서 해당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PC를 만질 기회가 많은 직종에 있어 되도록 컴퓨터 관련 내용 중에서 많은 분께 도움이 될 만한 글을 지속적으로 남겨볼 예정이니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맥북 윈도우 10 사운드 문제 해결 방법이었습니다. END.

  • 0xc000021a 블루스크린 오류의 원인과 해결 방법

    0xc000021a 블루스크린 오류의 원인과 해결 방법

    윈도우 10과 11의 0xc000021a 블루스크린 오류의 원인과 해결 방법과 관련한 글입니다.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여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일부 오류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등의 특정 메시지가 발생한 경우 참고하여 해결에 활용하셨으면 합니다.

    저처럼 PC 수리 기사를 직업으로 하고 있는 분이라면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0xc000021a 블루스크린을 자주 경험하셨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0xc000021a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는 윈도우 10 뿐만 아니라 윈도우 XP, 윈도우 7, 윈도우 11 등의 다양한 마이크로소프트 운영체제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에러 메시지입니다.

    지금부터 말씀드리는 윈도우 10 블루스크린 0xc000021a 오류 해결 관련 내용을 읽어보시면 앞으로 비슷한 컴퓨터 고장 증상에 대한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어느정도는 스스로 PC 고장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지 코드 0xc000021a

    오늘 오후 컴퓨터 A/S 목적으로 종종 방문드리는 사무실에서 PC 고장 증상을 말씀해주시면서 출장 컴퓨터 수리 작업을 요청해주셨습니다.

    고객님 말씀으로는 PC의 윈도우 10 부팅 도중에 블루스크린 오류가 나타나면서 반복적으로 재부팅이 이루어진다는 것이었습니다.

    기존 PC 수리 작업을 마무리한 후 최대한 신속히 해당 사무실의 컴퓨터 A/S를 위해 이동하여 데스크에서 사용 중인 사무용 데스트톱 PC의 상태를 점검하였습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PC 고장 증상이라고 생각했으나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여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일부 오류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그런 다음 자동으로 다시 시작합니다.”라는 블루스크린 에러 메시지와 함께 QR 코드와 중지 코드: 0xc000021a 블루스크린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는 화면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0xc000021a 블루스크린 에러 원인

    윈도우 운영체제의 블루스크린 0xc000021a 에러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SSD 또는 하드디스크 고장 증상
    • SATA 케이블 고장
    • 윈도우 부트섹터 손상
    • 악성코드 등의 컴퓨터 바이러스
    • 메모리(RAM) 오류

    특정 블루스크린 코드마다 정확히 일치하는 고장 증상을 의미한다면 크게 고민할 필요 없이 블루스크린 코드가 의미하는 고장 증상을 원인으로 파악한 후 이에 맞는 해결 방법으로 컴퓨터 수리를 진행하면 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1개의 블루스크린 코드는 여러 개의 고장 증상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아 여러 개의 고장 증상을 머리 속에 떠올린 후 그 중에서 가장 적합한 원인을 찾아내야 PC 수리의 시간을 단축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블루스크린 0xc000021a 오류 코드와 관련된 내용을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해보면 윈도우 10의 안전모드로 진입하여 해결 가능하다는 내용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 실제로 위의 PC 고장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오늘 경험했던 고객님의 PC처럼 끊임없이 무한 반복되는 윈도우 재부팅으로 인하여 실제로 윈도우 안전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또한 안전모드에 진입하여 해결을 시도해본다 하더라도 실제로는 해결되지 않고 또다시 해당 블루스크린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고장 진단이 필요합니다.

    0xc000021a 블루스크린 오류 해결 방법

    지금부터 실제로 0xc000021a 블루스크린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에 관하여 순차적으로 기록해보겠습니다.

    1. 메인보드의 RAM, 메모리 슬롯 점검
    2.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SSD, 하드디스크 인식 확인
    3. SATA 케이블 점검
    4. 부품 고장이 발견되면 해당 부품 교체
    5. 윈도우 재설치

    우선 SSD 또는 하드디스크의 고장부터 의심해야 합니다.

    따라서 PC 내부의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하드디스크와 SSD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는지부터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메인보드 바이오스 hdd ssd 인식 고장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HDD와 SSD가 정상 인식된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고장 증상인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부품 고장 여부를 점검하는 과정에서 SSD, HDD와 메인보드를 연결해주는 데이터 케이블인 SATA 케이블의 점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윈도우 10이 설치된 SSD와 HDD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윈도우 10을 재설치해보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해당 방법을 무작정 진행해버리면 윈도우 바탕화면과 로컬디스크 C 드라이브 내부의 중요 폴더와 파일이 삭제될 수 있어 매우 주의하셔야 합니다.

    사진 문서 백업

    그래서 평소에 중요한 사진, 문서 등의 데이터는 별도의 저장 공간에 자주 백업해야 한다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중요 파일이 다른 저장 공간에 백업되어 있다면 큰 걱정 없이 SSD와 HDD의 포맷과 윈도우10 운영체제 재설치로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과정이 매우 수월해집니다.

    메인보드에서 SSD와 HDD가 모두 정상 인식되거나 윈도우 10을 포함한 각종 파일이 대부분 남아있다면 악성코드 등의 컴퓨터 바이러스를 의심해야 합니다.

    심각한 컴퓨터 바이러스 증상인 경우에는 윈도우 운영체제가 부팅되는데 필수 공간인 부트섹터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또한 0xc000021a 블루스크린 오류의 원인이 됩니다.

    ram 블루스크린 에러

    때로는 매우 단순한 문제로 인하여 0xc000021a 블루스크린 에러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RAM(메모리) 문제에 관해 이야기해볼까요?

    메인보드에 장착되는 메모리(RAM)는 PC에서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가 원활하게 이동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요한 역할을 하는 램이기에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마치 SSD와 HDD 등의 PC 내부의 저장 매체가 고장난 것처럼 보이는 결과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따라서 윈도우의 0xc000021a 블루스크린 오류를 점검하기 전에 램이 장착되는 메모리 슬롯의 점검을 우선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램과 메모리 슬롯 점검 방법

    램과 메모리 슬롯 점검 방법

    램 및 메모리 슬롯의 점검은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DR-747 등을 이용하여 슬롯 내부의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작업을 가장 추천드리고 여유가 된다면 BW-100 등의 접점 부활제를 이용하여 슬롯 내부와 슬롯에 맞닿게 되는 RAM의 골드핑거에 도포해주면 됩니다.

    평소에 제대로 인식되지 않던 RAM과 메모리 슬롯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는데 좋은 역할을 할 수 있는 DR-747과 BW-100입니다.

    WD 40

    종종 메모리 슬롯에 WD-40 등을 도포하는 분이 계신데 비슷하게 생겼다고 아무거나 사용하시면 오히려 PC 내부의 메인보드를 고장나게 만드는 원인이 되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정확한 고장 진단 필수

    위의 과정을 통하여 정확한 고장 진단이 이루어졌다면 자연스럽게 PC 수리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PC 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0xc000021a 윈도우 블루스크린 에러의 원인이 정확하게 진단되지 않은 것입니다.

    우선 RAM과 메모리 슬롯 점검 후 컴퓨터 바이러스가 원인이라고 판단되었다면 다시 윈도우 10을 설치하면 간단히 해결될 것이고 SATA 케이블 불량 또는 SSD 고장이라면 해당 부품을 신속하게 교체하면 확실히 해결됩니다.

    윈도우 10 블루스크린 0xc000021a 오류 해결, 참 쉽죠?

    응용

    실제로 블루스크린 코드는 매우 다양합니다.

    컴퓨터 수리를 업으로 하는 저이지만 모든 블루스크린 오류 코드를 다 외우고 다니지 못할 정도입니다.

    자주 볼 수 있는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만 숙지하고 다니면서 PC 고장 증상에 즉각 대응하고 있으며 기억하지 못하는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나 처음 경험하는 블루스크린 오류 증상은 저도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10 블루스크린 0xc000021a 오류 해결 관련 글을 읽어보면서 어느정도 센스가 있는 분이라면 비슷한 방법으로 다양한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를 이해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스킬이 금방 늘어날 것이라 생각됩니다.

    PC 사용 도중에 블루스크린 에러 메시지가 나타나면 당황하지 마시고 아래에 보이는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나 원인을 의미하는 메시지를 잘 기억해두거나 스마트폰 사진으로 남겨둡니다.

    지금까지 제가 알려드린 방법을 응용하여 구글링이나 네이버, 빙 등으로 특정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를 검색하시면 위에 제가 남겨놓은 것처럼 몇가지 고장 증상의 원인을 유추해내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실제로 블루스크린 고장 증상을 직접 해결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고장 진단 정도만 어느 정도 이루어진다면 PC 수리 업체에게 컴퓨터 A/S를 받을 때도 수리 비용이 과다하게 책정되는 문제를 피해가실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한 단계 더 나아가 직접 윈도우 10 등의 OS를 직접 설치하거나 PC 부품을 직접 교체하실 수 있다면 거의 대부분의 블루스크린 증상을 스스로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유튜브 등의 영상을 참고하여 컴퓨터 수리를 스스로 진행하시는 분이 크게 늘었습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윈도우 10 사용 도중에 발생되는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 0xc000021a 오류를 해결하는 과정에 관해 자세히 다루어보았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블루스크린 메시지인 중지 코드: 0xc000021a는 윈도우10 뿐만 아니라 윈도우 7과 윈도우 11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증상으로 해당 포스팅이 많은 분께 참고가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에서 작성하며 윈도우 10 블루스크린 0xc000021a 오류 해결 관련 포스팅을 마칩니다. END.